본문 바로가기
등산게시판

한양도성 순성 길을 걷다 (인왕산구간, 백악구간(북악산)

by 최영호 2022. 4. 10.

* 산행일자 : 2022년 4월 8일

* 산행코스 : 인왕산 선바위 - 인왕산 범바위 - 인왕산정상(338.2m) - 곡성 - 기차바위 갈림길 -창의문 - 창의문 안내소 - 백악돌고래쉼터 - 백악마루(백악산,북악산,342m) - 1·21 사태 소나무 - 청운대(293m) - 암문 - 백악곡성 - 54년 만에 개방된 코스 - 법흥사터 - 삼청동 안내소

 

오늘은 여러 번 다녀본 인왕산과 북악산 도성을 지나 54년 만에 2022년 4월6일에 개방된 삼청안내소 구간을 산행계획을 하고 집을 나샀다. 한양도성 순성길 제4코스인 인왕산구간 인왕산 선바위부터 출발하여 인왕산 범바위 인왕산 정상 인왕산 곡성을 지나 기차바위 갈림길-서시정 정자- 창의문까지 약4km 2시간정도 소요되어 인왕산 구간을 마쳤다. 창의문의 전경 후경을 둘러보았다.

 

창의문 (彰義門)은 한양의 4소문 중의 하나로 양주군과 의주군으로 향하던 관문으로 근처 계곡의 이름을 따서 자하문 (紫霞門)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창의문은 한양도성의 축조와 함께 1396년에 건립되었다. 현재의 문은 1741년에 세운 것으로, 4소문 가운데 유일하게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2015년 12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81호로 지정되었다.

 

이어서 북악산 한양도성 창의문 안내소에서 통행표찰을 받아 목에 걸고 북악산 순성 길에 올라간다. 계단으로 되어있는 데크 경사 길을 힘들게 올라가면 돌고래쉼터가 나와 잠시 쉬었다 출발, 계속 계단 길을 올라가 백악쉼터에 도착 잠시 쉬였다 올라가니 백악마루 (백악산,白岳山) 지금은 북악산(北岳山)이라고 함)에 도착 표지석에서 인증 사진을 한 장 찍었다.

 

백악산(白岳山 342m)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서울의 주산으로 서쪽의 인왕산(仁王山, 338m), 남쪽의 남산(南山, 262m), 동쪽의 낙산(駱山, 125m)과 함께 서울의 사산(四山) 중 하나로, 북쪽의 산으로 일컬어졌다. 1396년 처음 성을 쌓을 때 공사구간을 97개로 나누고 각 구간의 이름들을 천자문의 순서에 따라 붙였다. 백악마루가 그 기점으로 이곳에서 천(天)자 구간이 시계방향으로 시작되고 마지막 조 (弔)자 구간이 끝난다고 한다.

 

조금 내려가니 1.21사태 소나무 가 나온다. 1968년 1월 21일 북한 124부대의 김신조 외 30명의 무장공비들이 청와대를 습격할 목적으로 침투하였을 때 우리 군경과 치열한 총격전으로 수령 200년이 된 이 소나무에는 15발의 총탄 자국이 남게 되었고 이후 1.·21 소나무라고 부르고 있다.

 

이어서 걸어가면 청운대(靑雲臺 293m)가 나온다. 청운대는 한양도성에서 가장 조망이 좋은 곳으로 남쪽으로는 경복궁과 광화문 아래 세종로가 보이고, 북쪽으로는 북한산의 여러 봉우리를 볼 수가 있어 기분이 상쾌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어서 백악곡성까지 올라갔다. 곡성은 한양도성 주요 시설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성벽의 일부분을 둥글게 돌출시켜 쌓은 성을 말하는데 곡성은 백악산에 하나가 있고 인왕산에 하나가 있다.

 

곡성에서 다시 내려와 청운대 쉼터에서 54년 만에 개방된 길로 접어들어 내려가니 청운대 전망대가 나온다. 잠기 쉬었다 조금 내려가니 법흥사터가 나온다. 절터의 흔적만 남아 있을 뿐 볼거리는 하나도 없다. 조금 더 내려가니 수영장계곡이 나오고, 월운교를 지나니 삼청안내소에 도착 표찰을 반납하고 산행을 마쳤다, 오늘 산행은 약8km에 4시간 소요된 산행이었다.

 

한양도성(漢陽都城)은 사적 제10호로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경계를 표시하고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한 성이다. 태조 5년(1396년)에 백악(북악산)·낙타(낙산)·목멱(남산)·인왕의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했다. 평균 높이 약 5~8m, 전체 길이 약 18.6km에 이르는 한양도성은 현존하는 전 세계의 도성 중 가장 오랜 기간(1396~1910년) 동안 도성의 기능을 수행했다.

 

인왕산 성곽

인왕산 곡성

인왕산 정상

부부송

서시정

창의문

돌고래쉼터

맥악쉼터

백악산 (북악산) 정상

1,21사태 소나무

청운대

곡성

법흥사터

수영장터

 

월운교